(제작=MMM)

뉴욕증시가 전날의 급락세를 딛고 반등에 성공했다. 인공지능(AI) 관련주에 대한 거품 논란이 일단락되며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했으나 엔비디아는 홀로 하락세를 보였다.

5일(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보다 225.76포인트(0.48%) 오른 47311.00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4.74포인트(0.37%) 상승한 6796.29, 나스닥종합지수는 151.16포인트(0.65%) 오른 23499.80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시장의 반등은 전일 급락한 AI 및 반도체 종목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결과로 분석된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02% 급등하며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AMD는 전일 발표한 호실적을 기반으로 2.31% 상승했고 마이크론테크놀러지는 8.93% 급등했다. 인텔과 퀄컴 역시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반도체 대표주인 엔비디아는 1.75% 하락한 195.2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은 4조7530억달러로 줄었다. 하락 원인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대장주 하락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섹터 전반은 전일 낙폭 과대에 따른 반등 흐름을 보였다.

시가총액 1조달러를 넘어서는 기술 대형주 대부분은 상승세로 돌아섰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가량 하락했으나 테슬라가 4% 넘게 뛰었고 브로드컴과 알파벳도 2%대 강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장 마감 직전 15분 동안 주요 지수가 상승분의 절반가량을 반납하면서 고평가 우려와 AI 거품론이 여전히 시장 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함을 보여줬다. 나스닥지수는 장중 1.23%까지 상승했으나 종가 기준으로는 0.64% 상승에 그쳤다.

오사익의 필 블랑카토 수석 시장 전략가는 “AI 산업은 승자와 패자가 명확하게 나뉘는 구도”라며 “과도한 기업가치 평가 속에서 투자 방향을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메리프라이즈파이낸셜의 앤서니 사글림베네 수석 전략가는 “시장 전반에 저가 매수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며 “경제지표의 긍정적 흐름이 낙관적 분위기를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은 이날로 36일째를 맞으며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 정부 공식 통계는 여전히 중단된 상태지만 민간이 발표한 경기지표는 경제의 견조함을 보여줬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지난달 서비스업 PMI가 52.4로 집계돼 9월의 50.0에서 2.4포인트 상승했다. ADP가 발표한 민간 고용은 전달 대비 4만2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 2만5000명을 크게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기술과 필수소비재, 부동산을 제외한 전 업종이 상승했다. 임의소비재와 통신서비스는 1% 넘게 오르며 강세를 보였다.

이날 미국 대법원에서 열린 상호관세 적법성 심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불리한 분위기였다. 대법원장과 대법관 9명은 성향과 무관하게 행정부 측 논리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따라 포드와 제너럴모터스가 약 3% 상승했고 캐터필러는 4% 뛰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가 불법으로 판단될 경우 자동차와 중장비 업계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결과다.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가 12월까지 동결될 확률은 37.4%로 상승했다. 전일 31.4%에서 증가한 수치다. 변동성지수(VIX)는 18.01로 전일 대비 0.99포인트(5.21%)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