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MMM

서울 집값이 한강벨트를 기점으로 전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강남을 넘어 성동, 마포, 용산 등 핵심 지역에서 신고가가 속출하는 가운데 정부와 서울시가 서로 다른 해법을 내놓으며 시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3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해 3주 연속 오름폭을 확대했다. 상승세는 ▲성동구 0.59% ▲마포구 0.43% ▲광진구와 송파구 각 0.35% ▲강동구 0.31% ▲용산구 0.28%에서 두드러졌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역세권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면서 상승 거래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3일 마포구 마포자이 전용 113㎡가 26억50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새로 썼고 성동구 서울숲리버뷰자이 전용 84㎡도 25억3000만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 행진을 이어갔다. KB부동산의 주간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서도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9월15일 기준 67로 전주보다 6.5포인트 상승해 4주째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서울시는 서로 다른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며 엇갈린 행보를 보였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날 세종시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개인적인 입장이지만 보유세를 강화해야 한다고 본다”며 세제 강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나 규제지역 확대까지 모든 대안을 열어두고 검토한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세훈 서울시장은 한강변에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추가 지정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며 정비사업 ‘신속통합 2.0 계획’을 통해 2031년까지 31만가구를 착공하고 2035년까지 37만7000가구를 준공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공급 물량의 64%를 집값이 뛰는 한강벨트 지역에 집중해 인허가 절차를 앞당기겠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이 시장에 상반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은 수요 대비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정부 대책은 공급 시점이 늦어 효과가 제한적이고 단기적으로는 상급지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정부의 보유세 강화 기조와 서울시의 공급 확대 방침이 맞물려 집값 안정보다는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