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MMM)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가파르게 확산하고 있다. 현금 자산이 풍부한 고가 주택 수요층이 거래를 이끄는 가운데 전세난과 공급 대책 불신에 실수요자까지 매수 시장으로 뛰어들면서 불안 심리가 커지고 있다.

2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넷째 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올라 상승폭이 확대됐다. 34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으며 최근 3주 연속 상승폭도 커지고 있다. 성동구(0.59%)와 마포구(0.43%) 광진구(0.35%) 송파구(0.35%) 강동구(0.31%) 등 한강벨트 지역에서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6·27 대출 규제 이후에도 현금 보유층이 적극 매수에 나서면서 고가 아파트 거래가 늘었다. 12억원을 넘는 주택이 전체 거래의 30% 이상을 차지했고 30억원 이상 초고가 거래도 20%에 달했다. 강남3구와 용산구에서는 신고가 경신 사례가 이어졌다.

9·7 공급 대책 발표 이후에도 서울 핵심 지역의 실질적 공급이 쉽지 않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정책 신뢰도는 낮아졌다. 성동구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공급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우려 속에 서둘러 매입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 시장 불안도 매매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 전월세 가격 급등과 매물 부족에 일부 실수요자들은 월세·전세보다 주택 매입이 낫다고 판단하며 시장에 직접 뛰어드는 추세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0.09% 올라 전주 0.07%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거래 가능한 전세 매물도 빠르게 줄어들면서 ‘지금이라도 집을 사야 한다’는 불안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규제지역 확대나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같은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법 개정 필요성과 서울시와의 이견 등으로 단기간 결론을 내는 데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공급 확대에 방점을 찍고 정밀한 시장 진단을 통해 규제는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부동산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투기 우려나 시장 과열 발생 시 국토부 장관에게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부여해 수도권 주요 지역에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현재 법안은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심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