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용 국채 투자자 10명 중 6명이 405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대비를 위해 국채에 투자하는 사례가 늘면서 재투자 비율도 높아져 평균 4회 가까이 청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미래에셋증권이 집계한 최근 1년간 개인투자용 국채 투자 현황에 따르면 전체 투자자 가운데 50대가 39.3%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1.7%를 차지했다.
이어 60대가 19.1%로 뒤를 이었으며 40대와 50대를 합치면 전체의 61%에 달했다. 30대는 7.5%였고 20대는 3.8%에 그쳤다.
투자 목적을 묻는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3%가 ‘노후 대비’를 꼽았다. 분산투자와 안전자산 성격을 이유로 답한 비율은 26%였다. 전문가들은 국채가 원리금 상환이 보장되고 세후 수익률 예측이 가능해 현금 흐름 관리에 유리하다는 점이 노후 준비에 적합하다고 설명한다.
투자자들은 개인투자용 국채의 장점으로 분리과세(42%), 안전자산 성격(31%), 경쟁력 있는 금리(27%)를 지목했다. 특히 고소득자에게는 분리과세 혜택이 강력한 투자 유인이 되고 있다. 개인투자용 국채는 만기까지 보유하면 표면금리와 가산금리에 연 복리를 적용한 이자가 만기일에 지급되며 총 2억원 한도 내에서 이자소득 분리과세(14%)가 적용된다.
재투자 흐름도 뚜렷하다. 투자자 절반 이상이 두 번 이상 청약했으며 평균 재청약 횟수는 3.76회로 집계됐다. 10회 이상 재청약한 투자자도 11%에 달했다. 중도환매는 가능하지만 실제 비중은 낮았다.
지난해 6월 발행이 시작된 개인투자용 국채는 올해 7월부터 중도환매가 가능해졌으나 7월 환매 비율은 1.5%(31억5천만원), 8월은 1%(40억원)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