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MMM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집값 반등이 더딘 가운데 강화된 규제까지 겹치면서 차익 실현을 택하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이로 인해 외국인의 ‘탈서울’ 현상이 본격화하고 있다.

5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자료에 따르면 이달 4일 기준 외국인의 1~8월 서울 집합건물 매도 건수는 1348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수치인 1388건에 이미 육박했으며 남은 기간을 감안하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크다. 2022년 942건, 2023년 1061건에 비해 증가 폭이 가파르다.

특히 8월 한 달 동안 거래된 건수는 246건으로 2019년 11월(330건) 이후 월간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는 월간 거래가 단 한 차례도 100건 아래로 내려가지 않았고 200건대 매도도 두 차례나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시장 침체 국면에서 수익을 실현하는 전략을 택했다고 설명한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은 장기 보유보다는 적절한 시점에 처분하는 성향이 강하다”고 말했다.

강화된 규제도 매도세를 부추겼다. 서울 전역과 수도권 주요 지역이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신규 주택 매입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허가를 받더라도 4개월 내 입주와 2년 이상 실거주 의무가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력이 떨어진 것이다.

한편,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황은 달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부터 2024년 말까지 외국인 주택 소유자는 2만명 가까이 늘었다.

특히 중국인은 같은 기간 24.6% 증가해 전체 외국인 소유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시기엔 서울 용산구 한남동과 성북구 성북동 등에서 100억원이 넘는 초고가 매입 사례도 이어졌다.

현재는 탈서울 흐름이 거세지만 과거의 매입 확대 흐름과 대비되면서 외국인 투자자의 한국 부동산 시장 참여 방식이 크게 변화했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