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유튜브 ‘슈카월드 코믹스’ 캡처

구독자 360만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본명 전석재)가 서울 성수동에서 연 베이커리 팝업스토어가 뜨거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는 소금빵과 베이글 등을 최저 990원에 판매하며 빵값 급등을 꼬집었지만 자영업자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

슈카월드는 지난달 30일부터 공간 설계업체 글로우서울과 협업해 ‘ETF 베이커리’라는 이름으로 팝업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판매된 상품 가격은 소금빵과 플레인 베이글 990원 바게트 990원 식빵과 무화과베이글 1990원 명란바게트 2450원 오메기 단팥빵 2930원 표고버섯 트러플 치아바타 3490원 복숭아 케이크 2호 1만8900원 등이다. 일반적으로 3000원 안팎인 소금빵 가격의 3분의 1 수준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슈카는 라이브 방송을 통해 “가격이 싼 빵을 만들면 소비자들이 좋아할 줄 알았는데 예기치 못한 반발이 있었다”며 “자영업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가격을 다양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원재료를 산지 직송으로 들여오고 유통 비용을 줄이며 포장을 단순화했다”며 “빵플레이션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기획”이라고 설명했다. 빵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오르는 빵값을 풍자한 신조어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한 제빵업자는 “소금빵 원가가 1000원 수준인데 990원 판매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소상공인이 마치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오해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업주는 “손님들이 왜 비싸게 파냐고 항의한다”며 불편함을 토로했다. 제빵업계에서는 건물 임대료와 화재보험료 같은 고정비가 포함되지 않은 가격 정책은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한국 빵값이 비싼 배경으로 인건비와 수입 의존도를 꼽는다. 한국은 밀의 99% 이상을 수입하며 국제 곡물 가격과 환율 변화에 민감하다. 여기에 제빵업계의 인건비 비율은 원가의 29%로 식품 제조업 평균 8.1%보다 세 배 이상 높다. 한국의 식빵 500g 가격은 평균 3.06달러(약4200원)로 미국 3.64달러보다는 낮지만 일본 1.2달러 프랑스 1.19유로(약1930원)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슈카는 “동네 빵집이 폭리를 취해서 3000원 4000원에 판매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적자를 감수하는 것도 아니고 유튜버라서 가능한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사회실험이나 유튜브 조회수를 노린 것은 아니며 시장을 흔들어 보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협업사 글로우서울이 별도로 운영하는 매장에서 동일한 소금빵을 3000원에 판매하는 점과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홍보성 이벤트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슈카는 “글로우서울의 주식은 보유한 적 없고 IPO 여부도 몰랐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