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FX로 만든 이미지 (제작=mmm)

초복을 앞두고 삼계탕 한 그릇을 집에서 직접 끓이는 비용이 9000원을 넘어섰다. 주요 재료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장바구니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생활필수품 다수가 함께 오르며 서민 체감물가도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전통시장에서 삼계탕 4인분을 만들기 위한 주요 재료 7개 품목의 가격은 총 3만6260원으로 조사됐다. 1인분으로 환산하면 9065원으로, 5년 전(26870원)과 비교해 34.9%나 올랐고 전년 대비로도 12.4% 상승했다.

가장 크게 오른 품목은 찹쌀이다. 800g 기준 4300원으로 지난해보다 59.3% 상승했다. 영계 4마리는 1만8000원으로 12.5% 올랐고 마늘과 대파는 각각 20% 상승해 600원과 1800원에 거래됐다. 수삼(5000원), 밤(560원), 육수용 약재(6000원)는 전년과 동일한 가격을 유지했다. 폭염과 복날 수요로 영계 수급에 차질이 생긴 데다, 찹쌀은 재배면적 축소로 생산량 자체가 줄며 가격이 뛴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외식 가격은 이보다 2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플랫폼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 5월 서울 지역 삼계탕 외식 평균 가격은 1인분 기준 1만7654원이었다. 제주 지역도 1만5750원으로 집계됐다.

장바구니 물가 전반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16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서울과 경기 지역 420개 유통매장을 대상으로 2분기 생활필수품 37개 품목의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28개 품목에서 전년 동기 대비 평균 3.3% 가격 상승이 나타났다.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맛김으로 15.8%나 올랐고 커피믹스(12.0%), 분유(10.1%), 햄(8.6%), 달걀(8.3%)이 뒤를 이었다. 이들 상위 5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11%에 달했다. 반면 두부와 식용유 등 9개 품목만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별 비교에서도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올 1분기 대비 달걀(8.4%), 맛살(7.4%), 햄(5.6%), 맥주(4.5%) 등에서 뚜렷한 상승세가 이어졌고, 전체 29개 품목이 가격 인상됐다. 특히 달걀은 산란계 수급 불안과 유통 구조의 비효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판매처별로 보면 대형마트에서의 가격 상승률이 가장 두드러졌다. 맛김의 경우 대형마트에서 전년 대비 30.3%나 뛰었고, 일반 슈퍼마켓(21.6%)이나 기업형 슈퍼마켓(6.6%)보다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가격이 오른 품목 대부분이 일상적으로 자주 구입하는 생필품인 만큼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 압박이 더욱 커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