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말 기준 전체 가입자는 224만714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납입 누적액은 15조7763억6000만원에 달했다. (제작=MMM)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율이 최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가입자 이탈을 최소화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1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운영 현황’에 따르면 2025년 7월 말 기준 전체 가입자는 224만714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납입 누적액은 15조7763억6000만원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27세가 19만7000명(8.7%)으로 가장 많았으며 26세 19만5000명(8.7%), 28세 19만2000명(8.7%)이 뒤를 이었다. 38세 이상에서는 가입자가 1000명 미만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8만7000명(27.7%)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55만명(24.4%), 인천 14만3000명(6.3%) 순이었다. 수도권 거주자가 전체의 58.5%를 차지했다.

월 평균 납입 금액 기준으로는 최대 한도인 70만원 가입자가 86만1000명(43.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만원 미만 20만6000명(10.5%), 50만원대 20만1000명(10.2%) 순이었다.

하지만 문제는 중도해지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2023년 말 8.2%였던 해지율은 2024년 말 14.9%로 뛰었고 2025년 7월 말 현재 15.9%까지 상승했다. 누적 중도해지자는 총 35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서만 12만4000명이 해지했다.

납입 금액이 낮을수록 해지 비율은 높았다. 월 10만원 미만 가입자 중 12만7000명이 해지해 해지율이 39.4%에 달했고 10만~20만원 미만 구간은 20.4%, 20만~30만원 미만은 13.9%였다. 반면 월 70만원 납입자의 해지율은 0.9%에 그쳤다.

중도해지 시 지급된 정부기여금은 환수되지만 실제 환수율은 낮았다. 2025년 7월 기준 전체 32만5000건(90.8%)에서 환수 조치가 있었으나 환수 금액은 479억5000만원으로 해지액 1조5010억1000만원 대비 환수율은 3.2%에 불과했다.

강민국 의원은 “문재인 정부 시절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해지율이 29.6%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은 낮은 수준이지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심각하다”며 “청년층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위해 금융당국이 가입 유지 유인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도약계좌는 아직 만기까지 3년이 남았음에도 정부가 청년미래적금 도입을 추진하면서 기존 가입자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며 “새 상품과의 연계 방안을 명확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