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절반 이상이 월 5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연금을 받고 있는 가운데 60~64세는 절반이 아예 연금소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연령대 여성은 남성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 금액을 받아 성별 격차가 두드러졌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연금통계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사람은 863만6000명으로 수급률은 90.9%였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9만5000원으로 전년보다 6.9% 올랐지만 수급자의 절반 이상은 월 50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구간별로는 25만~50만원이 50.9%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 31.1%, 100만~200만원 8.2%, 200만원 이상 5.9%, 25만원 미만 4.0%였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제시한 노후 최소 생활비 136만1000원에 크게 못 미친다.
특히 소득 크레바스 구간으로 불리는 60~64세는 절반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었다. 퇴직으로 근로소득은 끊겼지만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에는 이르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연령대의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인구는 177만3000명으로 수급률은 42.7%에 머물렀다. 월평균 수급액은 100만4000원이었다. 6062세 수급률은 24.8%였으나 63~64세는 69.9%로 세 배 가까이 높았다.
성별 격차는 더욱 심각했다. 60~64세 연금 수급자 가운데 남성의 월평균 수급액은 125만8000원이었지만 여성은 67만3000원에 불과했다. 두 집단의 차이는 58만5000원으로 2021년 48만1000원, 2022년 52만3000원에서 계속 벌어졌다.
노동시장 내 성별 임금 격차와 여성의 경력 단절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다. 통계청 관계자는 “여성은 남성보다 납입 금액이 적고 납입 기간도 짧았다”며 “65세 이상에서도 같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희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60~64세 세대는 출산율이 높고 경력 단절을 경험한 경우도 많아 이러한 누적 차이가 연금 수급액 격차로 나타난다”고 진단했다.
다만 수급률 격차는 줄어드는 추세다. 2023년 60~64세 인구 가운데 연금을 받는 비율은 남성이 48.8% 여성은 36.8%로 나타났다. 2021년에는 남성 53.9% 여성 36.9%, 2022년에는 남성 55.7% 여성 40.3%로 차이는 완만하게 줄어들고 있다.
한편 18~59세 등록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5.1%였으며 이들은 월평균 39만4000원의 보험료를 냈다. 미등록 취업자의 가입률은 52.5%에 불과했고 납입액은 월평균 16만1000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