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MMM)

은퇴를 앞둔 고령층이 여전히 일터에 머물고 있다. 정년을 채우지 못한 채 저임금 일자리에 종사하거나, 연금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다시 일자리를 찾는 이들이 늘어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55세 이상 고령층 중 경제활동인구는 1001만 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고령층(1644만7000명)의 60.9%에 달하는 수치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고용률도 59.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 1년간 취업 경험이 있는 비율은 67.3%에 달했다.

고령층의 경제활동 증가는 빠르게 늘어나는 고령 인구 자체와 맞물려 있다. 과거에는 60대 초반이면 은퇴가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건강이나 생활비 문제 등으로 70대까지 일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다. 실제로 ‘앞으로도 일하길 희망한다’는 응답은 69.4%에 달했고, 평균 희망 근로 연령은 73.4세였다.

일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는 생계다. 희망 사유 중 ‘생활비에 보탬’이라는 응답이 54.4%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이라는 응답도 36.1%에 달했다. 하지만 일하는 이유가 즐거움보다 생계 때문이라는 현실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문제는 연금이 생활을 떠받칠 만큼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55~79세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연금을 받은 사람은 51.7%에 불과했고, 이들의 월평균 수령액은 86만원이었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제시한 1인 최소 노후 생활비 136만1000원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고령층의 희망 임금은 200만~300만원 사이가 많았지만, 실제 일자리는 대부분 최저임금 수준에 머무른다. 종사 비율이 높은 직종은 단순 노무직(22.6%), 서비스직(14.5%) 등이며, 관리직이나 사무직은 각각 2.1%, 8.3%에 불과했다. 생애 주된 일자리와 전혀 관계없는 일을 한다는 응답도 29%에 달했다.

이처럼 고령층 다수가 낮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찾는 이유는 뚜렷하다. 자녀가 독립한 뒤에도 가족을 위해, 손주에게 용돈을 주기 위해, 그리고 당장의 생계를 위해 일손을 놓을 수 없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고령층의 노동 참여가 단순히 복지 부족의 문제를 넘어서 ‘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서울대 경제학부 이철희 교수는 “노동 시간과 강도를 낮추되, 숙련된 고령 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고용 체계를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상림 박사도 “재교육과 기술 습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과 함께, 재취업 전환기 동안의 소득보장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