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달 도입한 6·27 대출 규제로 인해 수도권 고가 아파트 시장에 이상 기류가 나타나고 있다.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강경책 발표 이후 10억원 초과 아파트 매매계약 해제 비중이 눈에 띄게 늘어난 반면 중저가 아파트 해제 비율은 줄어드는 등 시장의 반응이 뚜렷하게 엇갈리고 있다. 고가 매수자들의 ‘자산 방어’ 심리와 중산층의 ‘영끌 부담’이 동시에 확산되며 매매 시장에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16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27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계약 해제 중 10억원 초과 물건의 비중은 35.0%를 기록했다. 이는 6·27 대출 규제 발표 이전 같은 기간(26.9%)보다 8.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반면 5억원 이하 아파트는 32.2%에서 25.1%로 줄었고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는 40.9%에서 40.0%로 소폭 감소했다.
고가 아파트가 집중된 서울 강남3구의 영향은 더욱 뚜렷하다. 서초구의 계약 해제 비중은 규제 이전 2.5%에서 이후 5.7%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강남구도 같은 기간 5.1%에서 6.5%로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자산 규모가 큰 매수자일수록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매수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했다.
반대로 집값 상승 여력이 제한적인 지역에서도 해제 비율이 함께 올랐다. 노원구는 5.3%에서 7.3%로 도봉구는 1.4%에서 1.9%로 강북구는 1.3%에서 1.9%로 각각 상승했다. 이는 자기자본이 부족한 20·30세대 ‘영끌’ 매수자들이 대출 제한과 향후 금리 부담에 대응하기 위해 계약을 철회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규제는 집값이 조정될 수 있다는 신호를 강하게 준 것”이라며 “고가 아파트 매수자들은 자산을 방어하려는 심리로 움직였고, 무주택 실수요자들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계약을 포기하는 공통된 흐름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직접적인 대출 규제를 넘어 시장 전반의 기대심리에 영향을 주며 매매를 재고하는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있다. 향후 계약 취소 흐름이 일시적 조정인지 구조적 위축으로 이어질지는 다음 분기 시장 흐름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