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생성한 이미지 (제작=MMM)

국민연금이 선택하는 국내 주식 투자 전략에 따라 시장 충격과 거래 비용의 차이가 뚜렷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외부 운용사에 맡긴 ‘액티브’ 전략이 주가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거래 비용도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운용 효율성과 시장 안정성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5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국내주식 기금운용 투자전략별 거래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가 확인됐다. 보고서는 2023년 말 기준 1036조원 규모의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투자 전략별 거래 특성과 비용을 심층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크게 ▲직접운용 ▲위탁운용으로 구분되며 이 안에서도 ▲패시브 ▲액티브 전략으로 나뉜다. 패시브는 시장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방식이며 액티브는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을 목표로 종목을 적극적으로 교체하는 전략이다. 현재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투자는 패시브 30% 액티브 70% 비중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이 중 절반은 외부 자산운용사에 위탁돼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 방식에 따라 ‘시장충격비용’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시장충격비용은 대규모 매매로 인한 가격 변동으로 발생하는 숨은 비용으로 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직접운용 전략 중에서는 특히 ‘액티브 직접(코어)’ 전략이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략은 거래 시점을 분산하는 방식으로 매매 시점에 따라 주가를 과도하게 흔드는 현상을 줄였다.

반면 외부 운용사에 맡긴 액티브 전략 중 일부는 대규모 매매가 집중되며 오히려 주가에 더 큰 충격을 줬고 결과적으로 높은 거래 비용이 수반됐다. 특히 ‘순수주식형’ 위탁 전략은 매수와 매도 모두에서 비효율적인 거래가 반복되며 비용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현상은 기금 보유 지분이 1% 이상 변동해 ‘대량 보유 변동 보고’를 공시해야 하는 날에 더욱 두드러졌다. 해당 날짜에는 외부 운용사들이 집중적으로 거래에 나서면서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거래 비용도 크게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외부 위탁운용이 국민연금 전체 운용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국민연금의 대규모 거래는 개인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 방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보고서는 이들이 국민연금과 반대 방향으로 거래하는 ‘역추세 전략’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국민연금의 움직임에 편승해 단기 차익을 노리는 전략으로 시장 단기 변동성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보고서는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투자 비중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시장 충격을 줄이고 거래 비용을 낮추는 전략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특히 거래 비용이 높게 발생하는 위탁운용 부문의 성과 평가와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직접운용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