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1일부터 전국민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할 방침이다. 모든 국민에게 1인당 15만원이 지원되며 사용처는 소상공인 업종으로 제한된다. 사용 가능한 업종과 지역이 정해진 만큼 실질적인 소비 진작 효과를 끌어낼 수 있을지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국민 1인당 15만원씩 기본 지급되며, 취약계층에는 최대 40만원이 추가 지급된다. 비수도권 거주자는 3만원, 농어촌 인구 소멸 위기 지역 주민은 5만원을 더 받을 수 있다. 이번 소비쿠폰은 연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백화점과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은 모두 제외된다.
■ 쿠폰 사용 가능 매장과 업종은?
소비쿠폰은 전통시장과 동네마트, 식당, 미용실, 약국, 안경점, 교습소, 학원,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단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처럼 100% 직영 방식의 매장은 제외되지만 교촌치킨, 다이소, 파리바게트, 편의점 등 일부 가맹점 운영 매장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대형마트로 분류되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은 제외되지만 이들 마트 건물 내 입점한 ▲미용실 ▲안경점 ▲음식점 같은 임대 매장은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기업형 슈퍼마켓(SSM)과 창고형 할인점인 코스트코나 트레이더스, 가전 양판점에서는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하다.
비대면 거래를 막기 위해 배달의민족 같은 배달 앱은 허용되지 않지만, 배달 앱과 연동되지 않은 자체 단말기를 활용한 현장 결제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쿠폰 사용 가능 여부는 각 카드사나 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 기한은 11월30일까지로 정해졌다. 카드나 상품권의 형태로 지급되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신청 가능하다. 특히 고령자나 장애인을 위해 지자체에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도 제공된다.
■ 지역 제한·스미싱 주의 등 신청 전 유의사항
소비쿠폰은 신청자의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으로 사용이 제한된다. 주소지가 서울이라면 서울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경기도 주민은 해당 시군 단위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정부는 신청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오는 14일부터 ‘국민비서’ 홈페이지와 네이버·카카오 등 17개 플랫폼을 통해 사전 알림 신청을 받는다. 알림 신청자에게는 19일부터 지원 금액과 신청 방법 등이 안내된다.
또한 정부는 스미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소비쿠폰 관련 문자에 웹주소를 포함하지 않기로 했다. 인터넷 링크가 포함된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 즉시 삭제하고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편, 정부와 업계는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매출 증가 효과를 언급하며 이번 쿠폰 지급이 하반기 소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