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Freepik)

서울 아파트 무순위 청약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고분양가 논란이나 입주 일정 부담에도 불구하고 경쟁률은 연이어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 집값이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3단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시행 이전 막바지 청약 수요가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24일 서울 은평구 대조동에서 진행된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무순위 청약에는 109가구 모집에 1246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11.43대 1을 기록했다. 전용면적 59㎡는 35가구 모집에 724명이 몰려 20.68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 단지는 전용 59㎡ 기준 분양가가 11억5060만원, 전용 74㎡는 13억7820만원으로 인근 구축 아파트 거래가보다 높은 수준이다. 실제로 인근 북한산힐스테이트7차 전용 59㎡는 지난달 9억원에 거래된 바 있다. 분양가와 함께 입주 예정 시점이 내년 10월로 촉박한 점도 자금 조달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조건이었다. 1순위 청약 이후 100가구 이상이 미계약 상태로 남았지만 무순위 청약에서는 신청자가 다시 몰렸다.

앞서 9일 강동구 성내동에서 진행된 ‘그란츠 리버파크’ 무순위 청약에도 높은 경쟁률이 나타났다. 3가구 모집에 863명이 신청해 평균 287.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전용 84㎡A는 2가구 모집에 684명이 몰려 342대 1에 달했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5299만원으로 전용 84㎡ 기준 약 19억4900만원 수준이었다. 인근의 래미안강동팰리스 전용 84㎡가 지난해 10월 13억9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5억원 이상 높은 가격이다. 해당 단지는 1순위 청약 당시 189가구 모집에 3169명이 신청해 경쟁률은 16.76대 1이었다.

이 외에도 올해 서울에서 진행된 무순위 청약은 전반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강동구 성내동 '에스아이팰리스 올림픽공원(5차)'은 9가구 모집에 913명이 신청해 평균 101.44대 1, 양천구 신정동 '어반클라쎄목동(7차)'은 10가구 모집에 692명이 몰려 69.2대 1, 종로구 숭인동 '에비뉴청계2(11차)'는 16가구 모집에 157명이 신청해 9.8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무순위 청약 경쟁률이 상승한 배경으로는 서울 집값의 상승 흐름과 더불어 대출 규제 도입 전 청약을 마치려는 수요가 함께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값은 누적 기준 3.1% 상승했다. 지난해 전체 상승률이 0.3%였던 점과 비교해 상반기에만 10배 가까운 상승폭을 보였다.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3단계 DSR 규제는 입주자모집공고일을 기준으로 적용된다. 이달 분양 단지는 규제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줄어들기 전 청약을 시도하려는 수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무순위 청약은 1·2순위 청약에서 미달하거나 계약 포기로 생긴 잔여 물량에 다시 신청을 받는 제도다. 정부는 2021년 5월 과열을 막기 위해 자격을 무주택자이자 해당 지역 거주자로 제한했으나, 2023년 2월 미분양 해소를 위해 규제를 완화했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동탄역 롯데캐슬에 294만명이 몰리면서 과열 논란이 재점화됐고, 결국 2025년 6월 10일부터 무주택자만 신청할 수 있도록 다시 자격이 제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