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Freepik)

국민이 느끼는 ‘부자가 되기 어려운 이유’가 바뀌고 있다. 지난 6년간 줄곧 1순위로 꼽히던 부동산 가격 외에도 ‘저조한 경제 성장률’이 최근 들어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하면서 구조적 위기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자영업자와 청년층에서 이 같은 인식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일 머니투데이가 여론조사기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한 '당당한 부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은 자산 형성의 걸림돌로 ▲주택 등 높은 자산가격 ▲저조한 경제성장률 ▲개인 투자능력 부족을 꼽았다. 이 가운데 ‘저조한 경제성장률’이라고 답한 비율은 15.4%로 지난해 11.0%보다 4.4%포인트 상승하며 응답 항목 중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 자영업자 28.3% “저성장이 최대 문제”

직업군별 응답을 살펴보면 자영업자들이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를 가장 크게 드러냈다. 자영업자의 28.3%가 자산 증식의 최대 걸림돌로 ‘저조한 경제성장률’을 꼽았다. 이는 블루칼라(15.7%) 화이트칼라(12.3%) 가정주부(9.9%) 대비 확연히 높은 수치다. 자영업자는 경기 악화의 직격탄을 먼저 받는 만큼 경제 구조 개선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주택 등 높은 자산가격’을 장애물로 지목한 응답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았다. 20대 응답자의 32.0%가 이 항목을 선택했고 30대는 29.7%로 뒤를 이었다. 반면 40대는 17.6% 50대는 16.3% 60대 이상은 13.9%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응답률이 낮아졌다.

전체 응답 결과를 보면 ‘주택 등 높은 자산가격’은 여전히 19.9%로 1위를 지켰지만 지난해(20.1%)보다는 소폭 하락했다. 이어 ▲개인의 투자 능력 부족(13.4%) ▲급여 수준 부족(13.2%) ▲과도한 빚과 이자 부담(9.4%) ▲금리 수준(8.2%) ▲교육비 부담(5.4%) 순으로 나타났다.

■ 국민 30.8% “저성장 구조부터 바꿔야”

정부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도 ‘저성장 고착화’가 지목됐다. ‘국민의 부를 늘리기 위해 새 정부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30.8%가 ‘저성장 구조 개혁’을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는 ▲세금 감면 등 실질소득 확대(20.8%) ▲재정 투입을 통한 경제성장률 제고(14.4%) ▲자본시장 활성화(13.7%) ▲부동산시장 활성화(9.7%) 순으로 응답이 이어졌다. 특히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요구한 응답은 20대에서 17.2%로 가장 높아 다른 연령대(6.39.6%)보다 23배 수준이었다.

한편, 지역별로는 ‘재정 투입을 통한 성장률 제고’에 대해 강원·제주 응답자 중 20.9%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대구·경북(17.1%) 경기·인천(16.0%) 서울(13.2%) 부산·울산·경남(12.7%) 광주·전라(11.7%) 대전·충청(10.6%)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