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Freepik)

가계의 가처분소득 중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이 지난 10년간 전 연령대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와 저출산 같은 구조적 요인에 더해 ‘절약 중심의 소비 습관’이 확산되면서 소비 지출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양상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세대별 소비성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14년 73.6%였던 평균소비성향이 2024년 70.3%로 3.3%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60대의 하락 폭이 가장 컸으며 69.3%에서 62.4%로 감소했다.

소득 증가에도 소비가 따라오지 않은 점이 특징이다. 30대 이하를 제외한 전 세대에서 실질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 지출은 이에 비례하지 않았다. 특히 20대와 30대는 월평균 가처분소득이 348만2000원에서 346만8000원으로 줄고 소비 지출도 257만3000원에서 248만3000원으로 감소했다.

신동한 산업연구원 박사는 “이자나 세금 등 비소비 지출을 제외한 가처분소득 중 실제 소비 지출 비중이 줄어든 상황”이라며 “소득 문제나 고령화뿐 아니라 절약 중심의 소비 습관도 중요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1인 가구 증가와 간편식 확산, 온라인 소비 확대, 저출산 등이 소비 구조 재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에서 외식과 여가 관련 소비가 증가했고 60대 이상 고령층은 보건 관련 지출이 가장 크게 늘었다.

40대는 운동과 오락 시설 이용이 늘며 자기 만족형 소비가 확대됐고 50대는 홈 인테리어나 미용기기처럼 개인 소비 품목에 집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60대 이상에서는 건강뿐 아니라 취미 활동 관련 소비도 함께 증가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소비 부진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구조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단기 부양책만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며 “세대별 특성에 맞춘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